
요즘 개인정보 유출과 명의도용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명의도용방지서비스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SK텔레콤 해킹 사건으로 많은 분들이 PASS 명의도용방지서비스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명의도용방지서비스의 필요성부터 PASS를 통한 간편한 가입 방법, 그리고 알아두면 좋을 참고사항까지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명의도용방지서비스에 가입해야 되는 이유
지난 4월 22일, SK텔레콤의 서버가 해킹당하면서 약 2,500만 명의 유심 정보가 유출되는 대규모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저 역시 10년 넘게 SKT를 이용해온 고객으로서 이번 사건에 큰 실망을 했습니다. 해킹 소식을 듣자마자 유심 교체를 하고 싶었지만, 쉽지 않았습니다.
‘SK텔레콤 유심 무료 교체 신청’을 바로 해놓았는데, 시간이 꽤 지났는데도 아직 연락이 없어서 답답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당장 할 수 있는 보호 조치로 PASS 명의도용방지서비스부터 가입했습니다.
심 스와핑: 공격자가 심 정보를 이용하거나 변경하여 대상자의 통신을 가로채는 공격방식이다.
출처: 나무위키
유심 정보 유출의 가장 큰 위험은 ‘심스와핑(SIM Swapping)’ 공격이라고 합니다. 해커가 유출된 정보로 유심을 복제해 내 계정에 접근하고, 금융 서비스 비밀번호까지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기도 하고 믿겨지지가 않더라고요. 명의도용방지서비스는 이런 위험으로부터 나를 보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안전장치입니다.
PASS 명의도용방지서비스 가입 방법
직접 해보니 PASS 앱을 통한 명의도용방지서비스 가입이 생각보다 훨씬 쉬웠습니다. 제일 먼저 PASS 앱을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 혹은 앱 스토어에서 PASS 앱을 설치해주세요.
앱 실행 후 필수 약관 동의 및 본인 인증을 진행합니다.

하단 메뉴 중 ‘전체’탭을 클릭하고, ‘보안/보호 – 명의도용방지’메뉴를 클릭합니다.

‘가입제한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주민등록번호로 본인인증을 마치면, 위와 같이 개통제한을 걸어둘 수 있습니다.
저는 모든 통신사 개통을 막아둔 상태입니다. 나중에 스마트폰을 바꾸거나 추가로 개통 시, 다시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안전을 위해 이렇게 잠금 설정을 해두었습니다.
만약 SKT 사용자라면, 반드시 걸어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참고사항
PASS 앱이 없거나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분들은 PC를 통해 엠세이퍼 홈페이지에서도 동일한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방법은 이전에 작성한 엠세이퍼(Msafer) 명의도용방지서비스 가입 및 해지방법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카카오뱅크(이하 카뱅)을 통해서 명의도용방지 서비스를 가입할 수 있습니다. 관련 정보는 ‘카카오뱅크 명의도용방지서비스 가입신청 및 해지 방법’ 글을 참고하세요.
최근 SK텔레콤 해킹 사건 이후 명의도용방지서비스 가입자가 급증하면서 PASS 앱과 엠세이퍼 사이트 모두 접속 지연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만약 접속이 어렵다면, 시간을 두고 다시 시도해보세요. (참고: 2025년 5월 13일 기준 접속을 해보니 잘 들어가졌습니다.)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서도 명의도용방지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카카오뱅크 앱 → 전체 → 인증/보안 → ‘명의도용방지서비스’ 순으로 접근하면 됩니다.
결론
이상으로 PASS 앱을 이용한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가입 방법과 참고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SK텔레콤 해킹 사건 이후 명의도용 위험이 높아진 지금, 유심 교체와 함께 명의도용방지서비스 가입은 반드시 고려해야 할 보안 조치입니다.
유심 교체는 언제쯤 될지 아직 모르겠지만, 그 동안 최소한 해둘 수 있는 보안 조치는 해두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걸 고객들이 발 벗고 나서서 해야 한다는 게 불합리하고, 어이가 없지만 어쩔 수 없는 것 같네요. 가입 과정이 생각보다 훨씬 간단하니, 망설이지 마시고 오늘 바로 실행에 옮겨보세요.
“PASS 명의도용방지서비스 가입 방법 및 참고사항”에 대한 2개의 생각